◆ 무후 ◆


무후란 <없을 무 / 뒤 후> 한자 용어로 '뒤가 없다', 즉 '자손이 없다'의 의미입니다.
약간 주의하실 것은 족보에 사용하는 한자는 無後가 아니라, 无後로 사용된 경우가 상당히 많아, 无가 '없을 무'라는걸 알고 계시면 편합니다.

족보에선 아래와 같은 식으로 기재해 주는데요,

장남 [금홍]의 자손이 없다


다만, 족보라는게 문중에서 만드는 것이라, 줄기를 뻗어나간 모든 사람의 파악이 되는건 불가능하여, 자손이 파악안되는 사람도 많으므로...
실제 자손이 없더라도, 무후가 기재되지 않은 경우도 많음을 고려하여야 합니다.



◆ 시조의 종류 ◆


우선, '시조'라는 단어의 의미는 <가장 우두머리가 되는 조상>을 뜻하며, 한자는 아래와 같이 씁니다.

- 始祖 : 비로소 시 / 조상 조

또한, 시조에는 여러가지 종류가 있으며, 보통 몇세손인지를 따질때 시조의 종류에 따라 숫자가 바뀌므로, 기본적 종류들에 대해선 알고 있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김해 A씨' 라고 했을 경우,

▶ 도시조 (都始祖)
<모든 A씨의 시조>를 의미 (첫자는 '도읍 도')

▶ 관시조 (貫始祖)
<김해가 본관인 A씨의 시조>를 의미 (첫자는 '꿸 관')
참고로, '본관'은 시조의 출신지 또는 시조가 근거지로 삼은 지역을 말함

▶ 파시조
<김해 A씨 OO파의 시조>를 의미

▶ 중시조
<가문의 흐름이 끊기거나 쇠퇴하여, 중간에 이를 회복한 조상 한분을 다시 시조로 지정>한 경우를 의미

참고로, 간단히 도조*관조*파조*중조 등으로 표현하기도 하고,
일반적으로 관시조가 많이 보이긴 한데, 아래 스샷과 같이 족보에 따라 세손을 표기하는 란에 복합적으로 함께 표기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세손과 대손 ◆


족보를 보다보면, 가끔 몇 세손(世孫)인지, 몇 대손(代孫)인지를 혼동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그 차이를 간단히 알아보면, 아래와 같은데요.

- 세손(世孫) : 순서를 시조를 포함하여 따짐
- 대손(代孫) : 순서를 시조를 제외하고 따짐

보통, 윗대로부터 본인을 지칭할 경우엔 '세손'으로 칭하는데, 예를 들어, '헨리1세, 헨리2세, 헨리3세...'식으로 따지는 프랑스왕들을 생각하면 됩니다.
또한, '대손'의 경우, 사전적 의미가 '대를 이을 자손'인데, 의미에서 보여지듯 본인이 자손이 될 순 없으므로 본인은 빼고 계산하는 식이 되며, 위와 아래로 1대씩 계산해 나가는 식이죠.

이해가 어려우신 분은 하기의 간단한 예제표와 함께 보시면 좀더 이해가 쉬울 것으로 생각되며^^
표의 참조부분은, 세손으로 표시된 족보를 보다가, 몇대조 할아버지 또는 몇대손 손자인지를 빠르게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블로그 이미지

자투리튜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