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묘(墓) ◆


장례문화가 많았던 때의 조상님들의 경우엔, 족보에 묘자리를 함께 표시한 경우도 많았는데요.
보통, 해당인 설명의 말미에 墓라는 한자와 함께 표기해 주며, 동네이름*산(山)이름 등을 함께 기재해 주는 식입니다. 
단, 오래된 분들은 현재의 법정주소명이 아닌 군*현 등의 옛고을 명으로 기재된 경우도 많고, 산이름 역시 정식이름보단 동네에서 부르던 이름이 많아, 인터넷 등으로 정확히 찾아내긴 어렵습니다.



◆ 배(配) ◆


해당인의 설명(자호*출생일*사망일*묘 등)이 끝나면, 배우자(配)를 표기해 줍니다.
보통, '어디어디의 O씨 & 아버지는 OO'식으로 표시해 준 후, 해당인과 동일하게 '출생일*사망일*묘'를 표시해 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 읽어보기 ◆ 

 

색칠해 둔 글자 패턴 익히기!!

* [재천]의 자(字)는 '경덕'으로, 을유년7월19일에 태어났고, 갑진년1월21일에 사망하였으며, 그의 묘지는 벽림곡에 있다.
* [재천]의 처(妻)는 '순흥 안씨' 안진호의 딸로, 정사년1월2일에 태어나, 신해년1월22일에 사망하였고, 그녀의 묘지는 구당에 있다.



◆ 견하(見下) & 견상(見上) ◆


견하(見下)는 페이지의 가장 아랫줄에서 볼 수 있으며, 해당인의 아래 후손을 보려면 기재된 페이지로 이동하라는 의미입니다.

창순의 후손을 보려면 1050페이지로 가시오. 



반대로, 견상(見上)은 페이지의 가장 윗줄에서 볼 수 있으며, 해당인의 윗 조상을 보려면 기재된 페이지로 이동하라는 의미가 되겠죠.

참고로, 족보가 여러권일 경우, 견상*견하가 아니라, 상권(上券)*하권(下券) 또는 1권(壹券)*2권(貳券)*3권(參券) 식으로 기재된 경우도 있으니, 참조하세요.

 




블로그 이미지

자투리튜브

,